소용 정씨 (광해군)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소용 정씨는 조선 광해군의 후궁으로, 본관은 동래 정씨이며, 정사룡의 서증손녀이다. 정3품 소용에 이르렀으며, 교태를 잘 부리고 행정 문서 처리에 능숙하여 광해군의 총애를 받았다. 인조 반정으로 광해군이 폐위되자 자결했으며, 자녀는 없었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- 1623년 사망 - 김예직
김예직은 조선 중기 무신으로, 선조의 후궁 공빈 김씨의 동생이며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했고 무과 급제 후 여러 관직을 역임했으며 광해군 시대 탄핵을 받았으나 인조반정 이후 포상을 받았고 김종필의 12대 조상이다. - 1623년 사망 - 구로다 나가마사
구로다 나가마사는 일본 전국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까지 활동한 무장으로, 오다 노부나가 인질 생활과 도요토미 히데요시 휘하 참전을 거쳐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공을 세워 후쿠오카 번 초대 번주가 되었으며, 임진왜란 참전과 잔혹 행위에 대한 복합적인 평가를 받는다. - 조선 광해군 - 인조반정
인조반정은 1623년 서인 세력이 광해군의 폭정을 명분으로 일으킨 쿠데타이며, 광해군 폐위 후 인조가 즉위했으나 서인 세력 간의 갈등과 외침으로 조선 사회에 혼란을 가져왔다. - 조선 광해군 - 별에서 온 그대
1609년 조선에 떨어진 외계인 도민준과 톱스타 천송이의 로맨스를 그린 드라마 《별에서 온 그대》는 초능력, 미스터리, 갈등, 그리고 한류 확산과 사회문화적 현상까지 일으킨 작품이다. - 동래 정씨 - 정진석 (정치인)
정진석은 1960년 충청남도 공주 출생으로 한국일보 기자 출신이며, 16, 17, 18, 20, 21대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이명박 정부에서 대통령 정무수석비서관을 지냈으며, 20대 국회에서 새누리당 원내대표와 국회 부의장을 역임했다. - 동래 정씨 - 정유길
정유길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,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쳐 명종 때 왕의 총애를 받았으며, 윤원형 탄핵에 앞장서 훈구파, 소윤파, 사림파 모두에게 존경받아 좌의정에 이르렀다.
소용 정씨 (광해군) - [인물]에 관한 문서 | |
---|---|
기본 정보 | |
![]() | |
작위 | 숙원, 소용 |
배우자 | 광해군 |
자녀 | 없음 |
왕조 | 조선 |
출생 | 1596년 미상 |
사망 | 1623년 음력 3월 13일 |
사망 원인 | 자살 |
아버지 | 정상헌 |
친척 | 정사룡(증조부), 정지산(남매) |
2. 생애
언제 태어났는지는 명확하지 않다. 조선 중기의 문신 정사룡의 서증손녀이자 정상헌의 딸로, 출신은 천인이다[2][3][4]. 성은 정, 본관은 동래이다[5]. 조선 제15대 왕 광해군의 후궁으로, 품계는 정3품 소용에 이르렀다.
정씨가 언제 입궁하여 후궁이 되었는지는 기록이 없다. 다만 《조선왕조실록》 1613년(광해군 5년) 음력 12월 30일 기사에서 그녀를 "소용 정씨"로 언급하고 있으며, 더불어 광해군이 마지막까지 함께 한 후궁 5명 중 1명이라고 기록하고 있다. 특히 정씨는 교태를 잘 부리고, 왕에게 출입하는 행정 문서를 잘 관리하고 처리하여 광해군이 총애하였다고 한다. 이러한 정씨는 외모가 뛰어났던 소용 임씨, 머리가 비상했던 상궁 김개시와 함께 왕의 총애가 "후궁 중에 으뜸"이었다고도 기록되어 있다[6]. 한편 정씨는 원래 종4품 숙원이었다가 훗날 소용으로 진봉되었다[7].
그러나 1623년(인조 원년) 음력 3월 13일 인조 반정으로 광해군이 폐위되자[8], 정씨는 그날 바로 자결하여 생을 마감했다[9]. 광해군과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다.
2. 1. 출신과 입궁
정소용은 언제 태어났는지는 명확하지 않다. 조선 중기의 문신 정사룡의 서증손녀이자 정상헌의 딸로, 출신은 천인이다.[2][3][4] 성은 정, 본관은 동래이다.[5] 조선 제15대 왕 광해군의 후궁으로, 품계는 정3품 소용에 이르렀다.정씨가 언제 입궁하여 후궁이 되었는지는 기록이 없다. 다만 《조선왕조실록》 1613년(광해군 5년) 음력 12월 30일 기사에 "소용 정씨"로 언급하고 있다.[6] 정씨는 교태를 잘 부리고, 왕에게 출입하는 행정 문서를 잘 관리하고 처리하여 광해군이 총애하였다고 한다.[6] 이러한 정씨는 외모가 뛰어났던 소용 임씨, 머리가 비상했던 상궁 김개시와 함께 왕의 총애가 "후궁 중에 으뜸"이었다고도 기록되어 있다.[6] 한편 정씨는 원래 종4품 숙원이었다가 훗날 소용으로 진봉되었다.[7]
2. 2. 광해군의 총애
정소용은 교태를 잘 부리고 왕에게 제출되는 행정 문서를 능숙하게 처리하여 광해군의 총애를 받았다.[6] 이러한 정씨는 외모가 뛰어났던 소용 임씨, 총명한 김개시와 함께 왕의 총애가 "후궁 중에 으뜸"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.[6] 원래 종4품 숙원이었으나, 훗날 정3품 소용으로 진봉되었다.[7]2. 3. 인조반정과 죽음
1623년(인조 원년) 음력 3월 13일 인조 반정으로 광해군이 폐위되자[8] 정소용은 그날 바로 자결하여 생을 마감했다.[9] 광해군과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다.3. 가족 관계
정소용에게는 오빠(혹은 남동생) 정지산이 있었다.[10] 정지산은 정사룡의 증손자이나, 서얼 출신에 천민이었다. 정소용이 후궁이 된 덕에 특별히 빙고별좌에 제수되었으며, 1617년(광해군 9년)에는 광해군의 친형 임해군의 기생 환어사를 체포하는 공을 세우기도 했다.[2][3][7] 그러나 정지산은 같은 해 사망하였다.[11]
3. 1. 가계
정소용의 아버지 정상헌(鄭象獻)이다. 증조부는 정사룡(鄭士龍, 1491~1570)이다. 오빠(혹은 남동생)는 정지산(鄭之産, ?~1617)이다.[10] 정지산은 정사룡의 증손자이나, 서자 출신으로 천민이었다. 그럼에도 불구하고 후궁으로 책봉된 정소용 덕에 특별히 관직을 받아 빙고별좌가 되고, 1617년(광해군 9년) 음력 9월 2일에는 광해군의 친형 임해군의 기생 환어사(喚御史)를 체포하는 공을 세웠다.[2][3][7] 그러나 정지산은 이 해 음력 10월 21일에 사망하였다.[11] 남편은 제15대 광해군(光海君, 1575~1641, 재위:1608~1623)이다.4. 평가
4. 1. 긍정적 평가
4. 2. 부정적 평가
참조
[1]
논문
광해·인조 연간의 해인사 수다라장과 법보전 상량문 연구
2020
[2]
조선왕조실록
《조선왕조실록》광해 99권, 8년(1616 병진 / 명 만력 44년) 1월 27일(무술) 7번째기사
[3]
조선왕조실록
《조선왕조실록》광해 120권, 9년(1617 정사 / 명 만력 45년) 10월 21일(임자) 2번째기사
[4]
서적
조선왕실 왕비와 후궁의 생활
국립고궁박물관
2017-07-06
[5]
웹사이트
한국민족문화대백과 〈정사룡〉
https://terms.naver.[...]
[6]
조선왕조실록
《조선왕조실록》광해 73권, 5년(1613 계축 / 명 만력 41년) 12월 30일(계축) 2번째기사
[7]
조선왕조실록
《조선왕조실록》광해 119권, 9년(1617 정사 / 명 만력 45년) 9월 2일(갑자) 4번째기사
[8]
조선왕조실록
《조선왕조실록》인조 1권, 1년(1623 계해 / 명 천계 3년) 3월 13일(계묘) 1번째기사
[9]
조선왕조실록
《조선왕조실록》광해 187권, 15년(1623 계해 / 명 천계 3년) 3월 14일(갑진) 2번째기사
[10]
조선왕조실록
《조선왕조실록》인조 3권, 1년(1623 계해 / 명 천계 3년) 9월 14일(신축) 1번째기사
[11]
조선왕조실록
《조선왕조실록》광해 120권, 9년(1617 정사 / 명 만력 45년) 10월 21일(임자) 2번째기사
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,정부 간행물,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.
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, CC BY-SA 4.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, 부정확한 정보,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,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.
문의하기 : help@durumis.com